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

[면접 준비 자료] IT 시스템 관리 & 운영 체제별 기본 명령어

*IT 시스템 관리 직무 관련 질문

계정권한, 접속이력 등 통제관리증빙 문서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현행 시스템에서 신규로 도입하거나 개발/변경하는 경우, 개인정보보호 측면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인수할 수 있도록 절차를 수립/이행해야 한다.

현재 시스템 능력의 한계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도입 타당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해야 한다.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 상호 호환성, 자원 이용률

기존 시스템과의 상호 호환성, 성능, 안정성, 보안성 , 신뢰성

개인정보보호 측면의 타당성 검토하고 인수할 수 있도록 절차를 수립, 이행해야 한다.

현재 시스템의 자원 이용률, 사용량, 능력 한계에 대한 분석

최신 취약점등을 포함한 보안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하고 설계 단계부터 반영해야 한다.

정보 시스템의 안전한 구현을 위한 코딩 표준을 수립하고 적용해야 한다.

 

자산 변경 시 고려사항 성능, 보안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상용 sw 설치, 운영 중인 응용프로그램 기능 개선, nw 구성 변경, cpu 메모리 저장장치 증설 등 정보시스템 관련 자산 변경이 필요한 경우 변경을 위한 공식적인 절차 수립 및 이행

 

정보 시스템 관련 자산 변경 수행 전 성능 및 보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야 한다.(영향도 분석), 변경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변경을 이행, 변경 실패에 따른 복구방안을 사전에 고려해야 함.

 

리눅스/유닉스/운영 체제별 기본 명령어

파일 권한 -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퍼미션 수정 명렁어 : chmod

예시: chmod c-w yoom.c, chmod 664 yoom.c

r(읽기)-4, w(쓰기)-2, x(실행)-1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 소유 그룹 수정 명렁어 : chown

NW - ip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어